한국은 세계 주요 신흥 기술 경쟁력 순위에서 전체적으로 5위를 기록했지만, 인공지능(AI), 바이오 기술, 양자 기술, 우주 분야에서는 중하위권에 머물렀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버드 케네디스쿨 벨퍼 센터(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가 6월 5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종합 점수는 반도체 분야에서의 강세 덕분에 높은 순위를 기록했지만, 미국과 중국의 점수에는 한참 미치지 못했다.
이번 조사는 벨퍼 센터가 처음으로 공개한 국가별 신흥 기술 경쟁력 순위로, 평가 대상은 총 25개국이었다. 평가 항목은 반도체(35%), 인공지능(25%), 바이오 기술(20%), 우주(15%), 양자 기술(5%) 등 5대 핵심 기술이다.
한국의 종합 점수는 20점으로, 84.3점을 기록한 미국과 65.6점을 얻은 중국에 크게 뒤처졌다. 특히 AI 분야에서는 9위, 바이오 기술 10위, 양자 기술 12위, 우주 기술 13위로, 선두권 국가들과의 격차가 두드러졌다.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은 미국, 중국, 일본, 대만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설계 및 제조 부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장비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AI 분야에서는 독일, 영국, 프랑스, 인도 등에도 뒤진 9위였다. 한국의 AI 점수는 14.1점으로, 미국(90.8점), 중국(58점)과 큰 격차를 보였다. 모델 정확도, 데이터, 연산 능력, 알고리즘, 인재 등 8개 항목이 평가 기준이었으며, 한국은 모델 정확도 항목에서 0점을 받았다. 이는 평가에 활용된 스탠퍼드대의 ‘AI 인덱스 2024’가 한국의 자체 개발 모델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LG AI연구원의 관계자는 자사의 모델 ‘엑사원 3.5’가 차기 ‘AI 인덱스 2025’에는 포함될 예정이라며, 평가에 사용된 데이터가 구식이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이 알고리즘 개발 항목에서도 0점을 받았다는 점을 문제로 꼽는다. 구글이나 오픈AI처럼 자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미국 기업과 달리, 한국 기업은 기존의 미국 알고리즘을 단순히 활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또한 생성형 AI 기술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으며, 민간 투자 감소와 AI 인재 부족 현상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는 ‘신뢰 기반 인공지능 조성 및 진흥 기본법’ 제정 등 제도적 대응에 나섰지만, 우수 인재의 유입과 유지는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의 AI 인재 점수는 2.6점으로, 미국(19.1점), 중국(20점), 유럽(17.6점)과 비교해 매우 낮은 수치였다.
반도체를 제외한 나머지 4개 기술 분야에서 한국은 대부분 10위권에 머물렀으며, 각국 간 점수 차이가 적어 언제든 순위가 뒤바뀔 수 있는 불안정한 위치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기술 격차를 좁히지 못하면 후발 주자들에게도 추월당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바이오 기술, 양자 기술, 우주 분야는 특히 한국이 상위권에 진입하지 못한 분야로, 벨퍼 센터는 이들 기술이 ‘게임 체인저’로 지정된 만큼 정부 차원의 강력한 지원과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지난 정부에서 설정한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현 정부가 지속적인 투자와 전략 수립을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인재 부족 문제를 한국 기술 경쟁력의 주요 위기로 지목했다. 인구 감소와 이공계 학생들의 의대 진학 선호 현상이 맞물리며, 반도체·AI·바이오·양자 기술 분야 전반에 걸쳐 인재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